헤븐 번즈 레드라는 게임을 플레이해봤습니다. 유튜브 광고에서 분위기 있게 스토리를 잘 보여줘서 굉장히 흥미롭다는 생각을 했던 게임인데, 어찌어찌 시간을 내서 플레이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게임 플레이 이전에 굉장히 많고 다양한 반응이 많았던 게임이라는 소리를 들었는데,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 꽤 많이 들렸던 것이 "코드가 잘 맞지 않아서 힘들다" 였습니다. 광고에서는 굉장히 심오한 느낌의 스토리를 보여줄거 같았던 헤븐 번즈 레드의 초반 스토리는 정말 뇌절 그 자체였습다.
무한한 태클과 엉뚱한 만담회
"괴물들이 등장해 인류를 위협하고 있고 주인공과 동료는 그런 괴물들을 쓰러뜨리기 위해 군인이 된다" 라고 하는 꽤 어두운 느낌의 이야기임에도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나오는 태클과 본질을 흐리는것 같은 엉뚱한 드립들이 난무하면서 꽤 뇌절을 많이 겪게 한 게임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뇌절 파트를 넘어가면 진가를 보여주는 헤븐 번즈 레드의 스토리
하지만 그 초반 뇌절 파트를 지나면 작가의 진가를 보여준다는 느낌의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정말 매력적인 내용들이 많이 등장을 하는 헤븐 번즈 레드였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마에다 준의 작품 중 클라나드, 엔젤비트, 샤를로트와 같이 정말 재밌게 봤던 작품들의 향수가 느껴질 정도로 "와... 이래서 이 캐릭터가 이런 말을 했었구나;" 하는 충격을 받게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근데.. 이건 게임이잖아?
심지어 글로벌 출시잖아?
개인적으로 스토리로는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이 되지만, 헤븐 번즈 레드라는 작품이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혹은 소설이 아닌 게임이라는 형태로 나왔기 때문에 + 심지어 한국쪽으로 글로벌 출시를 했다는 점에서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바로 "한국 게이머들을 타겟으로 튜닝을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부분입니다.
한국 게이머 중에 스토리를 보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
스토리를 보더라도 마에다 준의 개그 코드에 맞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글로벌 출시는 그 지역을 대상으로 수익을 얻기위해 진행을 하는 것인데, 한국 게임에서는 스토리에 중심을 두는 게임이 많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몇년 사이에 블루 아카이브와 니케와 같은 게임들이 출시되면서 조금 나아졌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최상위 게임 매출 순위를 보면 거의 리니지 라이크류의 게임들이 대다수입니다.
즉, 게임을 즐기는 코드가 일본과 한국이 다르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많은 플레이어를 수급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운 좋게도 최근 블루 아카이브와 니케같은 게임의 등장으로 "스토리 보는것도 재밌다!" 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많이 생기기는 했지만, 과연 "덕력의 힘 없이 얼마나 마에다 준의 개그 코드를 받아드릴 수 있을까" 에 대한 생각도 해보게 되었습니다.
저도 옛날에는 애니메이션을 정말 많이 봐왔고 특히나 마에다 준의 작품들에는 정말 추억이 많을 정도로 덕을 많이 쌓았다고 생각이 됐는데, 그런 저도 뇌절에 힘에 힘겨워 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조금이라도 튜닝을 해서 뇌절 파트를 줄이는게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는 작가의 뚝심이 아닐까 라는 생각
마에다 준의 작품들을 보면 정말 어울리지 않는 상황에서도 뚝심있게 이상한 개그 코드를 넣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특히나 아무련 관련이 없는 상황에서 갑자기 야구를 한다던지 하는 이상한 코드들이 있기는 한데, 이런 부분을 보면 "설마... 뚝심있게 밀어 붙인건 아닐까?" 하는 의심도 들긴 합니다.
물론 애니메이션을 재밌게 봤기 때문에 작가 한명한명의 상황이나 스토리, 현황은 잘 모르겠지만 "돈이 아쉬운 사람인건 아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다보면 오히려 감안하고 한국 출시를 저렇게 한게 아닐까 하는 결론이...
플레이하다가 저도 지치기는 했지만 확실히 뇌절파트를 넘어서면 진가가 보이던 작품, "헤븐 번즈 레드" 였던것 같습니다.
다만, 게임의 시스템과 스토리의 양을 보니 꾸준히 플레이를 하기에는 해보고 싶은 게임이 너무 많아서 얼마나 더 플레이를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게임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CCG RPG 게임 "우르르 용병단" 플레이 분석 (0) | 2023.05.14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3으로 보는 RTS 게임에 변수를 주는 요소 (0) | 2023.05.07 |
생존 시뮬레이션 게임 60 Seconds!으로 보는 멀티 엔딩의 비용 (0) | 2023.04.16 |
스팀 게임 OutCore를 플레이하면서 생각하게 된 게임 스토리와 표현 (0) | 2023.03.08 |
CirCle Empires를 플레이 하면서 기록한 RTS게임의 특이한 자원 분포와 캐릭터 성장 (0) | 2023.03.01 |